cpi란?
소비자물가지수(CPI)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. 구매 동향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.
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이며, 낮은 경우 부정적임을 의미합니다.
지난 cpi
발표일 | 시간 | 실제 | 예측 | 이전 | |
2023년 10월 12일 (9월) | 21:30 | 3.7% | 3.6% | 3.7% | |
2023년 09월 13일 (8월) | 21:30 | 3.7% | 3.6% | 3.2% | |
2023년 08월 10일 (7월) | 21:30 | 3.2% | 3.3% | 3.0% | |
2023년 07월 12일 (6월) | 21:30 | 3.0% | 3.1% | 4.0% | |
2023년 06월 13일 (5월) | 21:30 | 4.0% | 4.1% | 4.9% | |
2023년 05월 10일 (4월) | 21:30 | 4.9% | 5.0% | 5.0% | |
2023년 04월 12일 (3월) | 21:30 | 5.0% | 5.2% | 6.0% | |
2023년 03월 14일 (2월) | 21:30 | 6.0% | 6.0% | 6.4% | |
2023년 02월 14일 (1월) | 22:30 | 6.4% | 6.2% | 6.5% | |
2023년 01월 12일 (12월) | 22:30 | 6.5% | 6.5% | 7.1% | |
2022년 12월 13일 (11월) | 22:30 | 7.1% | 7.3% | 7.8% | |
2022년 11월 10일 (10월) | 22:30 | 7.7% | 8.0% | 8.2% |
=>전체적으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, 물가가 잡히고 있는것일까요?
9월 미국cpi결과 분석
출처 :t.me/seokd_platform
> CPI 3.7% YoY (est. 3.6%), Core CPI 4.1% YoY (est. 4.1%)
>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주거비(Shelter) 지수는 월간 전체품목 가격상승률에 가장 큰 기여를 했으며, 상승률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. 휘발유 지수의 상승도 주요 원인이었다고 합니다.
> 9월에 상승한 지수에는 주거비, 숙박비, 자동차 보험비, 레크리에이션, 개인관리비, 신차가격이 포함됩니다
> 주거비는 2023년 내내 0.4~0.6% 박스권 유지하다가 작년에 0.3%로 둔화되더니 9월에 0.6%로 상승했습니다. 견고함이 더 견고해진 상황입니다.
> 에너지 가격은 2.3%으로 전월 10.5% 대비 진정됐고, 휘발유는 2.1% 상승했습니다. 반면, 연료유는 8.5% 상승하며 전월 9.1%에 이어 항공수요가 큰 상태임을 나타냅니다.
> 식품 가격은 3.7% YoY에 0.2% MoM으로 큰 변화는 없는데 특이사항으로 시리얼/베이커리 가격지수가 0.4% 하락하며 2021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음전했습니다. 관련주 투자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.
> 자동차 보험료가 7월 2.0%, 8월 2.4%, 9월 1.3% 상승해 상승세는 완화됐습니다. 그러나 전년대비 18.9% 상승한 상태로 여전히 가계 가처분소득을 크게 압박합니다.
2023.09.14 - [주식/미국주식] - 8월 미국 CPI 결과 해석
8월 미국 CPI 결과 해석
» 미 노동통계국(BLS)은 임대료, 자동차 보험, 의료서비스를 핵심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뽑았습니다. 숙박, 중고차, 레크레이션은 가격하락 요인입니다. » 에너지 가격 변화율은 5.6% M
getluckysh.tistory.com
'여의도 주식정보 > 미국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/2 주요뉴스 연준금리인상없다 (0) | 2024.05.02 |
---|---|
[12.8-9 ]미국주요지표 발표 (0) | 2023.12.09 |
8월 미국 CPI 결과 해석 (1) | 2023.09.14 |
23/8/25 잭슨홀 미팅 파월연설전문 (0) | 2023.08.26 |
8/25 파월 잭슨홀 주요 발언 내용_인플레이션은 아직 안끝났다 (0) | 2023.08.26 |